벼의 일생
벼의 구조
- 벼의 낟알, 즉 종자는 식물학적으로 말하면 과실인 현미(穎果,caryopsis)를 왕겨인 내영(palea)과 외영(lemma)이 싸고 있는 형태로서, 1개의 소수(小穗, spikelet)에 해당한다.
소수의 구조는 아주 짧은 소수축(rachilla)에 내영과 외영이 앉아 있고 그 안쪽 위에 현미가 있으며 소수축 밑에는 1쌍의 호영(護穎,glumes), 최하위에 2개로 끝이 갈라진 부호영(rudimentary glumes)으로 되어 소지경(小枝梗)에 붙어 있다.
벼의 일생
벼는 식물분류학상 종자식물문, 잔자엽식물강, 영화목 , 벼과, 벼속에 속하는 식물로 약 20여종이 알려져 있다. 그 중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는 것은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e)`이며, 아프리카의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오리자 글하베
리마`를 재배하고 있다. 오리자 글라베리마는 우리가 주로 재배하는 오리자 사티바와는 그 모양이 다르게 생겼다.지금 재배되고 있는 벼는 한해살이 작물로 환경과 재배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 생장기간이 보통 짧은 것은 120일 정도, 긴 것은 180일 이상인 것도 있다. 또 생장 기간은 크게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로 구분한다.
싹을 틔우려면 볍씨에 수분이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마른 볍씨를 물에 담가 두는 데, 보통 볍씨 무게 의 23% 정도가 물을 흡수해야 한다. 그 뒤 못자리에서 35 ~ 45일 정도 싹을 틔우고 모를 키운다. 5월 중순에서 6월 초순 사이에 모내기가 이루어지고, 모내기를 한 모에서 새 뿌리를 내려 양분을 흡수하고, 뿌리의 기능을 다하게 된다. 영양생장기의 마지막 단계에는 모가 생장하여 이삭이 생긴다. 이때 한 개의 낟알이라고 생기는 이삭을 `유효분열경`이라 하고, 그렇지 못한 이삭을 `무효분열경`이라 한다.
생식생장기에는 키가 자라고 꽃이 피며 쌀알이 여문다. 벼는 마디 사이의 길이로 크기가 결정되며, 이삭은 가지와 잎 속에서 나와 꽃이 피기 시작한다. 꽃을 완전히 피우는 데 걸리는 기간은 3일 정도 이며, 한 포기의 이삭이 모두 나오는 데는 7일 정도가 걸린다. 수정이 이루어지면 씨방이 자라 쌀알을 만드는데, 쌀알을 덮고 있는 껍질의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점점 누렇게 변해 간다. 낟알의 90% 이상이 누렇게 되면 벼를 베어야 하는데, 9월 쯤에 가을걷이가 이루어진다. 황금 물결을 이루던 논이 모두 베어져 나가면 벼의 한살이도 끝이 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