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제정·공포한 친환경적 경영체제에 관한 국제 표준 규격
환경경영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환경에 나쁜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한 경영 전반의 제반 활동
환경경영체제란 환경 방침을 실행, 달성, 검토 및 유지관리를 위한 조직이 구조, 계획, 활동, 책임, 관행, 절차, 공정 및 자원 등을 포함하는 중요한 경영체제
ISO 14001 규격
기업활동 전반에 걸친 환경경영체제를 평가하여 객관적인 인증을 부여하는 것
기업이 단순한 해당 환경법규 또는 국제기준의 준수뿐만 아니라 환경방침, 추진계획, 실행 및 시정 조치, 경영자 검토, 지속적 개선등의 포괄적인 환경경영을 실시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
ISO 14001 인증의 개념
ISO 14001이란 국제표준규격의 제정 및 보급을 위하여 설립된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환경경영체제]에 관한 국제 표준이다.
ISO 14001은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등 조직이 환경친화적인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제3의 기관이 평가하여 인증하는 것이다.
ISO 14001은 제품의 품질만을 따지는 기존 ISO 9000과는 달리 환경에 대한 부하를 가능한 줄일 수 있도록 배려한 시스템(환경경영체제)에 대하여 ISO 인증심사기관이 심사, 인증해주는 제도이며 인증획득은 곧 방류수 수질, 시설물 운영, 조직 등 환경과 관련한 관리본부 운영의 모든 면이 국제 기준에 맞는다는 것을 뜻한다.
ISO 14001 탄생배경
국제적 배경
국제적 배경 산업화, 인구증가 및 도시화에 따른 환경오염의 심화
오존층 파괴, 지구 온난화의 심화 등 환경문제가 지역적 문제에서 전세계적 문제로 대두
국내적 배경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 등으로 생활환경 및 자연환경의 오염심화
국제경제사회에서 간접적 무역장벽화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 욕구 증대
환경에 관한 세계 산업계 회의(World Industry Council for the Environment, ICE)에서 기업의 환경경영감사
절차의 표준화를 위하여 국제적인 인증제도를 마련하는 활동전개
국제적인 환경경영체제 구축에 직접적인 동기가 된 것은1992년 브라질의 리우에서 개최된 [지구정상회의(Earth Summit)] 이다. 이 회의의 개최를 위해 1991년 세계 주요 기업 경영자 약 50명으로 구성된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경제회의(Business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CSD)]는 세계의 기업이 환경 측면을 고려한 상태에서의 경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제 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에 환경경영감사의 국제 규격 검토를 요청함
ISO는 1991년 9월에 국제전기기술회의(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와 공동으로 표준화 작업에 착수, 1993년 2월에는 [환경경영에 관한 기술위원회 (Technical Committee, TC 207)]를 설치
동년 6월부터 ISO 14000 시리즈로서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감사, 환경라벨 등 6개 분야에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환경경영체제(ISO 14001/4)와 환경감사 (ISO 14010/1/2)표준은 1996년 9월에 완성.공표됨
이 규격은 기업, 공공조직, 사회단체 등 분야 및 규모의 다양함에 관계없이 모든 조직에 폭넓게 적용
우리나라는 1996년 에 "환경친화적산업구조로의전환촉진에관한법률" 을 제정하여 동년 10월부터 ISO 14001 인증 제도를 실시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