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대메뉴로 바로가기

희망과 사랑의 도시 공원산림본부의 방문을 환영합니다.

우암산에얽힌전설

Home > 우암산자연생태 > 우암산소개 > 우암산전설 > 우암산에얽힌전설

우암산에 얽힌 전설

가좌골

  • ‘가좌골’은 우암산 남쪽 끝자락에 있는 마을로‘가재골’이라고도 함.
  • ‘가좌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짐.
  •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신문왕(神文王) 9년(689) 청주에 서원경(西原京)을 두고 성을 축조하여 다시 있을 수 있는 북방의 내습에 대비하고 있었음.
  • 그 후 81년 뒤인 혜공왕(惠恭王) 6년(770)에 왕이 서원경을 순행하게 되었는데, 왕이 순행한다는 전갈을 받은 성주는 왕을 맞을 준비를 해 놓고 왕의 행차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요로에 연락군을 파견하였음.
  • 혜공왕이 조항산성(鳥項山城)을 출발하였다는 파발을 받은 지 하루 해가 넘어갈 무렵 성안에 횃불을 밝혀 놓고, 행차를 안내하던 의전관이 때마침 전갈군이 들이닥치자 “왕께서 지금 어디쯤에 계시냐?”고 물어 보았음
  • 그러자 전갈군이 말하기를“왕이 타신 연이 지금 큰 마을에 이르셨다.”라고 하였고, 이어“왕의 가마가 작은 마을에 이르셨다.”라고 알려져 옴
  • 이에 비로소 성주가 의전군을 인솔하고 왕이 머물러 있는 곳으로 달려가 서원경 성으로 안내하기에 이르렀음
  • 왕의 가마가 있는 곳 이라고 해서 큰 마을을‘큰 가재골’, 작은 마을을‘작은 가재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그 후‘가재’가 ‘가좌’로 와전되어‘큰 가좌골’,‘작은가좌골’로 불리게 되었음

황성골

  • ‘황성곡’(皇城谷)이라고도 불리는‘황성골’은 광덕사 앞에서 우암산 토성 남쪽 문턱에 이르는 계곡을 말함.
  • 통일신라 시대 목암산에 성을 쌓아 올리고 있던 사역두(仕役頭) 한 사람이 남쪽에 문을 내고 나서 경주에서 행차하는 왕의 어가(御駕)를 어느 쪽으로 맞을까 하고 고심을 하기 시작했음.
  • 그러던 어느 날 남쪽산 기슭 양지 바른 잔디 위에서 낮잠을 자고 있는데 한 줄기 광채가 서쪽으로부터 뻗치면서 “역두는 이 빛깔을 따라 황성으로 이르는 길을 닦도록 하라.”는 부처님의 계시를 받고 깜짝 놀라 광채를 살피니 그 빛은 계곡을 따라 능선 쪽으로 뻗치고 있다가 한참 뒤에야 서서히 없어졌음.
  • 이어 홀연히 깨달은 역두는 곧 역사를 동원해서 광채가 멎었던 계곡을 따라 왕의 가마를 맞을 길을 닦고 임금을 성안으로 모시게 되었는데, 이상하게도 그 계곡에는 길을 내는 동안 흰 구름이 항상 감돌고 있어 일하는 역사들의 모습을 똑바로 볼 수가 없었음.
  • 그 후에 역두가 잠자던 잔디 자리에 조그마한 암자를 지었는데, 빛이 뻗었다 해서 광덕암(光德庵)이라 불렀다가 그 후 규모가 커지면서 오늘의 광덕사로 불리게 되었음.
  • 그리고 흰 구름이 서리던 계곡 길에 세워진 절은 백운사(白雲寺)라 해서 오늘에 이르고 있음.
  • 또 다른 설로는 역두가 성밖 잔디에서 자고 있는데 어떤 스님이 지나가며 하는 말이“황성으로 가는 길이 편해서 좋구나”라고 하면서 역두의 발을 밟고 지나갔다 하여서‘황성골’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전해짐.

서답골

  • ‘서답골’은 우암산에 있던 골짜기로써 지금의 삼일아파트와 한신신세대아파트 사이를 말함
  • ‘서답골’이라는 지명은‘서답’과‘골’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음
  • ‘서답’은 충청 방언에서는‘개짐’(월경 때 샅에 차는 헝겊)을, 평안?경상? 제주 방언 등에서는‘빨래’를 뜻하는 말임
  • ‘서답골’의‘서답’은 일반적인 의미인‘빨래’로 해석 되어짐
  • ‘골’은‘골짜기’란 뜻으로써‘서답골’은‘빨래를 하는 골짜기’로 해석 되어지고 있음
  • 아마도 주변 마을 아낙들이 이곳 골짜기에 모여 빨래를 했기 때문에‘서답골’ 이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으로 볼 수 있음
  • ‘서답’을 이용한 지명으로는‘서답골’이외에‘서답나드리’,‘서답바위’, ‘서답보’ 등이 있는데 이는‘빨래를 하는 곳’이라는 점에서 공통으로 쓰여짐

먹바위

  • ‘먹바위’는 지금의 청주대학교 내에 있는 바위로써‘먹’처럼 시커먼 색을 띠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임.
  • 옛날에는 이 바위 위에서 동네 아낙들이 모여 빨래를 했다고 전해짐

명암약수터

  • 인근에 사는 한 마을 사람이 어느 날 하늘의 선녀들이 하늘나라에서 계곡 으로 내려와 목욕을 하는 꿈을꾸게 되었음.
  • 그가 꿈에서 깨어나 그 곳을 찾아가 보았는데 백발 신선이 어떤 자리를 가리키고 있어 그 곳을 파보니 약수가 솟아 올랐다는 이야기가 전해짐.
  • 또한 옛날 청주고을 박생원의 출가한 딸 초순이가 이곳에서 요양을 하면서 약수를 마시고 중병을 치료하게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져‘약효가 있는 샘물’ 이란 뜻을 가진‘약수’라 했다고 함.
  • 1971년의 명암약수터
    < 1971년의 명암약수터 >
  • 명암타워
    < 명암타워 >
  • 명암호수
    < 명암호수 >

표충사

  • 충절(忠節)의 고장 청주에서는 많은 충신(忠臣)열사(烈士)가 나왔음.
  •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義兵)을 일으켜 싸웠으며, 3ㆍ1운동 때에는 민족 대표 33인 가운데 이 고장에서 6인이 나왔음.
  • 하지만 충신이 많이 나오는 고장에는 역적이 이었기때문이라는 사실을 간과 할 수 없는 일로써 조선영조(英祖) 4년(1728년)에 청주에서 반란(反亂)이 일어났음
  • 반란을 일으킨 사람은 청주 인근의 괴산군 청천면 송면 사람 이인좌(李麟佐) 로 본관이 광주(廣州)이며, 영의정 준경(浚經)의 후손인데 영조의 즉위로 노론이 권세를 잡고 소론이 밀려난 것에 반발하여 난을 일으켰음
  • 그 때 영장 남연년을 비롯한 충신들이 항복하지 않은 이유로 적도들에게 살해당함
  • 이 사건에서 비장 홍림의 애첩 해월의 이야기가 우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데, 해월은 홍림이 난중 병사 이봉상을 대신하여 죽자 반군에게 청하여 홍림의 시신을 찾아 장례를 지냈다고 함
  • 또한 홍림의 유복자를 나아서 7세까지 정성들여 키웠으나 전염병으로 사망하자 스스로 목숨을 끊어 먼저 간 사람의 뒤를 따랐다고 함
  • 그 후 반란이 진압되자 이봉상, 남연년, 홍림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영조 7년 (1731년)에 청주읍성 북문 안에 사당을 지었음
  • 또한 영조 12년에는 사액 되었는데 1939년 도시계획에 따라서 현 위치(청주시 상당구 수동87)에 이전하 고, 1977년 12월 6일 기념물 17호로 지정되었음
  • 이 사당이 표충사(表忠祠) 또는 일명 삼충사(三忠社)임
  • 표충사에는 해월의 열녀(烈女) 정문(旌門)이 있고 해월의 무덤은 표충사 뒤 인근 우암산에 깨끗이 남아있음
  • 표충사
    < 표충사 >
  • 표충사 열녀각
    < 표충사 열녀각 >
  • 해월의 묘
    < 해월의 묘 >

담당자

담당부서 :
산림관리과
문의전화(043) :
201-234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사용편의성 조사

최대 200자(한글100자) 이내로 입력하여 주십시오. [현재 자]